첫번째, 행정비용 감소 1) 국내도입효과 추정 2007년 기준으로 연간 82억원 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추정됩니다. 예를 들어, 73종에 달하는 중복서류가 통합환경관리계획서 1종으로 줄어들 것이고, 연 20회에 달하는 정기점검을 현실화하여 1~3년에 5일 동안 1회 실시하게 됩니다. 2) EU 사례 2007년 기준, 5만2천여개 사업장에 대한 통합허가로 연간 1천5백억~3천7백억원 절감되었다고 추정됩니다. 두번째, 환경오염 예방 영국 사례 1) 오염물질 저감 2000년에서 2006년 사이에, 대기에서 납, 황산화물이 50% 수준으로 감소되었습니다. 2002년에서 2006년 사이에, 수질 오염물질이 저감되고 수질 모니터링이 개선되었습니다. 1998년에서 2002년 사이에, 폐기물 발생이 25% 감소하고, 재활용이 50% 증가되었습니다. 2) 환경오염사고 감소 2000년에 884건이던 것이 2006년에 464건으로 절반으로 감소했습니다. 세번째, 에너지 절감 EU 사례 원료ㆍ에너지ㆍ용수가 절감되었습니다. 식품가공업, 섬유제조업, 금속표면처리업에서 용수 30~90%, 부자재 30~50%, 에너지 15~25%가 절감되었습니다. 제지생산시설에서 용수 50%, 부산물 재활용률 20%가 절감되었습니다. 네번째, 기업투자 증대 국내 도입효과 추정 연간 3,300억원의 GDP가 창출되고, 5년간 6천여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추정됩니다.